프레임6 #6. 지혜로운 사람의 10가지 프레임 첫 번째, 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 정말로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가까운 미래나 현재의 일도 늘 의미 중심의 상위 수준으로 프레임해야 한다. 일상적인 행위 하나하나를 마치 그것을 먼 미래에 하게 될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의미 중심으로 프레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어떤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당신은 앞으로 10년 후에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라고 묻는 것은 지혜롭지 않다. 왜냐하면 10년 후와 같은 미래의 일에 대해선 누구나 의미 중심의 이상적인 생활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가족들과 여행을 다니고, 문화생활을 즐기며, 때론 이웃에 봉사하는 삶을 살고 싶어요" 라고 답한다. 그러나 우리는 "당장 내일 어떻게 살 것인가?" 라고 물어야 한다. 막연한 먼 미래가 아닌 내.. 2020. 6. 8. #5. 손실 프레임과 이득 프레임 어떤 가게에서 현금으로 물건을 살 경우에는 1만 원을 내야하고, 신용 카드로 살 경우에는 1만 1000원을 내야한다. 당신이 만약 가게 주인이라면 어떻게 손님들에게 알릴 것인가? 1) 현금으로 구입하시면 1,000원의 할인 혜택을 드립니다. 2) 신용카드로 구입하시면 1.000원의 추가 요금이 부가됩니다. 1번과 2번의 상황은 동일하다. 하지만 1번에서는 할인을 해준다는 '이득'을 내세우고 있고, 2번에서는 추가 요금이 부가된다는 '손실'의 프레임을 제시하고 있다. 카너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손실은 이득보다 2.5배 정도 더 큰 영향력을 갖는다고 한다. 동일한 양의 이득으로 오는 만족보다는, 동일의 양의 손실이 주는 심리적 충격이 더 크다(심리학에서는 이를 '손실 혐오'라 부른다.) 는 이유로 인해 대.. 2020. 6. 2. #4. 나의 삶이 시시하다면? (프레임) A질문지와 B질문지가 있다. A: 당신은 요즘 얼마나 행복한가요?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 했나요? B: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 했나요? 당신은 요즘 얼마나 행복한가요? 두 개의 질문지의 답변 분석 결과, 데이트 횟수와 행복 사이의 관계는 A보다 B가 훨씬 더 높게 나왔다. A의 순서로 질문했을 때 상관관계가 약한 이유는, 첫 번째 질문에 자신이 행복하거나 불행하다고 답했다고 해서, 지난달 데이트 횟수를 왜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B의 경우, 지난달에 데이트를 많이 했다고 답한 사람은 자신의 행복을 '데이트 프레임'으로 보기 때문에 행복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데이트를 못한 사람도 '데이트 프레임'으로 자신의 삶을 바라보기 때문에 별로 행복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2020. 5.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