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아편전쟁과 중국의 개방에 대하여 _ 종이 호랑이가 된 중국

by 쏭민지쏭 2019. 6. 26.

19세기 영국은 청나라에 모직물과 면화를 수출하고 청나라로부터 홍차, 비단, 도자기 등을 수입하였다. 특히 청나라는 은을 받고 홍차를 많이 팔았다. 이에 따라 엄청난 양의 영국 은이 청나라로 흘러 들어가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큰 손실을 보고 있었다.

 

당시 청나라는 영국과의 무역을 제한하고 있었어요. 광저우 항구만 열고 공행(서양과 무역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허가를 받은 상인 조합)과만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국은 청나라와 무역에서 계속 손해를 보자, 무역항을 더 열아달라고 요구하였지만, 청나라는 영국의 요청을 거절했다.

무역으로 인한 손해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은 청나라 정부 몰래 아편(양귀비꽃의 진으로 만든 중독성이 강한 마약)을 수출했다.

청나라로 아편을 실어 나르던 영국의 배

 

아편

영국에서 아편이 밀수입되자 청나라에는 아편 중독자들이 늘어났으며, 영국은 아편 수출로 많은 돈을 벌었다. 결국 영국이 수입하는 홍차의 양보다 중국이 수입하는 아편의 양이 더 많아지기까지 했다.

 

아편을 몰수하는 임칙서


이에 청나라는 아편을 들여오는 것을 금지하고 광저우에 임칙서를 보냈다. 임칙서는 광저우에 있는 영국 상인들로부터 아편을 빼앗아 불태워 버렸다.. 그러자 영국은 이 일을 빌미로 1840년 6월, 청나라를 공격했다.

난징 조약 체결

결국 1842년 8월, 청나라는 영국에 항복하고 난징 조약을 체결했다. 난징 조약은 중국이 '국가 대 국가'로 맺는 최초의 조약이며 불평등 조약이다.

 

제1조.영국과 청나라는 앞으로 영구히 평화와 우정을 누린다 .
제2조.청은 광저우 외에 샤먼 , 푸저우 ,닝보 ,상하이를 개항한다 .
제3조.청은 영국의 편의를 위해 홍콩섬을 제공하고 , 홍콩섬은 영국의 법률에 따라 통치된다 .
제4조.청은 1839 년에 몰수했던 아편의 대금과 이후 영국인들에게 가한 위협의 위자료로 6백만 달러를 배상한다 .
제6조.청은 전쟁배상금으로 1,200 1,200만 달러를 지불한다 .
제9조.청은 영국에 협조한 모든 중국인들을 일체 처벌하지 않는다 .

 

특히 제 9조는 매국노를 처벌 불가하게 하여 영국의 무역 활성화를 도왔다.

 

처음에 1차 아편 전쟁에 대한 청나라의 생각은 "일개 지방에서 일어난 싸움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1차 아편 전쟁은 중국의 보수화가 더욱 더 강화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왜냐하면 중국이 전에서 패했다는 것이 내부에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이는 세금 포탈+약해진 만주족 세력=반청 등장으로 이어졌다.

 

홍수전

1851년 청나라의 탄압으로 인해 반란이 일어났다. 이를 홍수전을 중심으로 한 태평천국의 난이라고 부른다.

1853년에는 남경을 점령하여 수도로 지정하였다.

이후 홍수전의 고향인 광동성에서 태어난 쑨원이 "내가 제 2의 홍수전이 되겠다." 라고 말했다.

 

 

동학농민운동의 전봉준

태평천국의 난과 동학농민운동은 공통점이 많다.

 

외세와 합작한 정부군에 의해 진압된다.
당시 지배사상을 부정한다. (유교 -성리학)
반외세적이다.
상제를 믿는다. (배상제회 , 한울님)
도덕주의적이다.
신식무기에 의해 끝난다.

 

 

1856년 2차 아편전쟁이 발생한다. 최혜국 조항으로 인해 영국이 중국에게 난징조약을 개정하자고 했으나 (미국-영국 사이에 맺은 조항 중 12년마다 개정한다는 내용 있었음) 거부를 당하였다. 이후 프랑스 대사관이 중국인에 의해 죽게 되자 프랑스와 영국이 협공하여 중국을 침략하였다.

실질적인 원인- 영국: 조약 개정 거부로 인한 무력 침탈 / 프랑스: 자국민 사망을 핑계로 한 침탈

텐진 조약(1858)을 중국정부가 거부하자 1860년 원명원(베이징 정원)이 약탈하였다. 이 사건은 '허수아비 중국'의 실태를 확인하였으며 근대로의 이행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텐진조약

1. 전비의 배상
2. 외교관의 북경 주재
3. 외국인의 중국 여행과 무역의 자유 보장
4. 기독교 포교의 자유와 선교사 보호
5. 10 개의 항구를 개방할 것

 

이후 1960년에 베이징 조약을 맺었다.

1. 청나라가 비준을 거부한 1858 년의 텐진 조약 내용을 비준한다 .
2. 톈진을 개항한다 .
3. 외교사절의 베이징 주재를 허용한다 .
4. 배상금 800 만냥을 지불한다 .
5. 프랑스에 대해 몰수한 가톨릭 재산 반환을 인정한다 .

 

3조가 의미하는 바는 중국의 '중심 국가'에서 '일반 국가'로의 격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