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대국의 몰락_ 아편전쟁부터 시작한 불, 청불전쟁과 청일전쟁까지 이어지다.

by 쏭민지쏭 2019. 6. 28.

1864년, 태평천국의 난이 종결되었다.

50만 태평천국군을 과연 누가 쓰러뜨렸을까?

 

종결의 주역

1. 외국의 열강_ 청의 팔기군은 능력이 되지 않아서 상승군 등 일부 군대를 외국이 훈련시켰다.

2. 지역 유지들의 군대(향용勇)_ 왜냐하면 태평천국군은 토지를 평균분작하자고 주장하여 양반들이 지키기 위해 자체 무장하였다. (이홍장증국번이 있는데, 이들은 후에 회군과 상군이라는 장군의 명칭을 부여받고 그 지역의 조세를 담당하기 시작하였으며 군벌 형성의 토대가 되었다.)

 

 

...더보기

<아편전쟁의 결과>

'친외세 반봉건'으로 전환

아편전쟁과 태평천국 운동을 겪으면서 서양 무기의 우수성을 알게 되어서 청나라의 양무운동이 일어나게 됨

 

태평천국의 난이 진압된 후에 청의 오해를 살까봐 두려워 증국번은 무장해제를 하였으나,

이홍장은 군을 계속 가지고 있었다. 이홍장의 군은 사병적 성격을 가진 정규군이다.

...더보기

<양무운동>

리훙장 (이홍장 , 李鴻章)과  쩡꿔판 (증국번 , 曾國藩)을 중심으로 개혁을 시작한다.

• 1865 년 ‘강남제조총국 ’ 설치

  총포 /화약 /대포 등 무기 생산
• 원료 공급 위한 탄광 /철광 발전
• 우수학생 선발 , 외국 유학 → 군사 / 무기 연구
• 해군 증강 → 4개 함대 창설 ‘진원 ’,  ‘ 정원 ’ 등 초대형 전함 수입 , 동아시아 최대 함대 건설
• 1881 년 개평 광무국 신설 , 철도 건설 등 산업 근대화 주력·원료 공급 위한 탄광 /철광 발전

따라서 양무운동은 중체서용으로서 쉽게 말하면 서양의 문물과 기술을 받아들여 강한 나라를 만들자는 운동이다.

온건개화의 본질은 군대의 서양화를 통한 위세회복이다.

* ‘양무’란 말은 청나라에서 다른 여러 나라와 관계를 맺는 일 모두를 일컫는 말이다. 양무 운동을 이끌어 간 사람들은 주로 지방의 관리들이었다.

 

...더보기

<양무운동의 결과>

그러나 양무운동에 쓰여야 할 돈은 관리들의 욕심으로 쓰였으며, 특히 해군에 쏟아야 할 돈은 서태후의 궁궐 짓는 데로 빠져나갔다. 결국 양무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해군이 북양/동양/남양군으로 개편되었고, 전함이 도입되었다.

북양군은 이홍장에게 맡겨졌다.

 


청불전쟁(1884~1885)

 베트남의 종주권을 두고 청나라와 프랑스가 벌인 전쟁이다. 전쟁 결과로, 베트남은 프랑스의 속국이 되었다.

이 전쟁의 결과는 아이러니하다. 청나라는 패하지 않았는데 패한 것이 되었고, 프랑스는 제대로 승리하지 못하였는데승리한 셈이 되었다.

국외적으로는 청나라의 연약함이 드러나자 영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등이 중국과 그 주변의 나라에 대하여 야심을 품기 시작하였다. 특히 조선과 중국 동북지역(만주)가 전략적인 요충지로 청불전쟁 이후 10년 간 열강의 쟁탈목표가 되었으며, 내부적으로는 서태후의 독재정치가 확립되었다.

 

청일전쟁(1894~1895)

청나라와 일본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벌인 전쟁이다. 일본과 이홍장이 주도하는 북양군의 전투였으며 정부가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

이 전쟁은 온건개화 실패와 동시에 급진개화로 인식이 전환되어 변법자강운동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홍장이 실각되고 위안스카이가 등장하며 북양국벌의 변화가 일어났다.

 

시모노세키 조약(1895)

제1조. 청은 조선이 완결 무결한 자주 독립국임을 확인 하며 무릇 조선의 독립을 훼손하는 일체의 것을 폐지한다. (일개국가 불과)
제2조. 청이 관리하고 있는 지방 (랴오둥 반도 , 타이완 섬)을 영원히 일본 제국에 양도한다. (삼국 간섭)
제4조. 청은 군비 배상금으로 순은 2억 냥을 일본 제국에 지불할 것을 약속한다. (재정 거덜-1년 수입의 3배)

 

+청일전쟁 배상금의 현재 환산가치

당대 엔화 환산 시 3억 6천만엔. 현재 원화 환산시 추산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11조~15조 사이로 계산됨.

 

시모노세키 조약의 체결은 중화 질서 붕괴를 일으켰고, 적자 심화로 인한 이권이 강탈되었다.

또한 삼국간섭은 1차 세계대전 참전 및 러일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의 의미: 식민지 주도권을 두고 열강과 벌인 쟁탈전